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개요 === {{인게임 뜻|뜻={{인게임 뜻/번호|1}}하찮거나 쓸모 없는 변설(辯舌).<br>{{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주제|식물}}보리나 벼 따위 식물의 잎집과 잎몸 사이에 생기는 혀 모양의 돌기. ≒엽설(葉舌)ㆍ잎혀.<br>{{인게임 뜻/번호|3}}{{인게임 뜻/주제|식물}}양치식물의 소엽(小葉) 윗면의 아랫부분에 생기는 작은 혀 모양의 막성(膜性) 돌기.<br>{{인게임 뜻/번호|4}}{{인게임 뜻/주제|한의학}}'목젖'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br>{{인게임 뜻/번호|5}}{{인게임 뜻/주제|한의학}}목젖이 부어서 아래로 늘어진 병.<br>{{인게임 뜻/번호|6}}이십사절기의 하나. 입동과 대설 사이에 들며, 이때 태양의 황경(黃經)은 240도가 된다. 11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br>{{인게임 뜻/번호|7}}{{인게임 뜻/주제|문학}}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 일정한 구조 속에서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 사상, 심리 따위를 통하여 인간의 모습이나 사회상을 드러낸다. 분량에 따라 장편ㆍ중편ㆍ단편으로, 내용에 따라 과학 소설ㆍ역사 소설ㆍ추리 소설 따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옛날의 설화나 서사시 따위의 전통을 이어받아 근대에 와서 발달한 문학 양식이다. ≒이야기「5」.<br>{{인게임 뜻/번호|8}}=소설책.<br>{{인게임 뜻/번호|9}}설명하는 바.<br>{{인게임 뜻/번호|10}}주장하는 바.<br>{{인게임 뜻/번호|11}}원통한 죄나 억울한 누명 따위를 밝혀 씻음. ≒소석02(昭析).<br>{{인게임 뜻/번호|12}}=백설01(白雪).<br>{{인게임 뜻/번호|13}}=제설01(除雪).<br>{{인게임 뜻/번호|14}}{{인게임 뜻/주제|한의학}}뭉쳐 있는 기운을 풀어서 소통시키는 기능.<br>{{인게임 뜻/번호|15}}시끄럽게 떠도는 소문.}} 요약: 리오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오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To protect the wiki against automated edit spam, please solve the following captcha: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