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11월==== =====2021-11-01=====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몬스터 헌터 시리즈]에서 발파루크는 특수 패턴으로 날개를 펼치고 급상승하여 (이때도 공격판정 있다.) 맵을 빙빙 돌다 방향을 틀어서 급강하하여 낙하하는 '혜성' 이라는 패턴이 있습니다. 낙하 이후 폭발에 가까이 있으면 BGM이 잠시 끊기며 이명 현상이 발생합니다. 몬스터헌터 라이즈에서 '습격' 이라는 공식 명칭이 붙었습니다.}} =====2021-11-03(1)=====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 리그오브레전드의 Welcome to Planet Urf 라는 노래는 노래가사가 존재합니다.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노래가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게임 뜻/번호|3}}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URF}} 실제 공식 영상 설명창에 써있는 공식 가사입니다. =====2021-11-03(2)=====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 스타크래프트의 SCV가 사령부를 짓는데 걸리는 시간은 120초입니다.}} =====2021-11-05=====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 셋중에 하나만 진실입니다. {{인게임 뜻/번호|3}} (1)체스에서 오픈게임의 서순은 1.d4 d5 입니다. 잘은 모르지만 비숍이 먼저 뛰쳐나갈수 있게 하죠.{{인게임 뜻/번호|4}} (2)장기의 각 기물은 4.4cm 3.3cm 2.2cm로 되어있습니다. 잡을때의 그립이 좋다고 합니다.{{인게임 뜻/번호|5}} (3)천원이라는 바둑용어는 바둑판에서 한 가운데 있는 점입니다. 천원돌파의 유래가 이 단어의 일본어 발음에서 유래했습니다.}} (1) - d가 아닌 e로, 1.e4 e5가 맞습니다.<br> (2) 4cm, 3cm, 2cm가 맞습니다. 여담으로, 4cm는 왕(궁)이고, 3cm는 차, 포, 마. 상이며 2cm는 졸(병)과 사입니다. <br> (3) 이것이 진실입니다. =====2021-11-15(1)=====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점프 스케어는 영화나 게임 등에서 갑작스럽게 관객들을 깜짝 놀라게 하는 테크닉인 갑자기 튀어나오는 연출을 말합니다. 어원은 '무언가가 튀어나와서(Jump) 겁을 준다(Scare)'는 뜻.}} =====2021-11-15(2)=====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미국에서 가장 많이죽는 스포츠는 낚시라고합니다. 2번째는 사냥이라고 하네요}} 여담으로 사망률이 가장 높은 스포츠는 "행글라이딩"으로 약 0.1%정도의 사망률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1-11-19===== {{설명 추가 필요}}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 수록곡중 #HE4DSHOT의 MASTER 패턴은 중반의 #HE4DSHOT 구간에서 2, 4번 롱노트와 1-5 플릭이 교차하는 # 모양 패턴이 2번 등장합니다.}} =====2021-11-20(1)=====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이 티엠아이는 15분만에 사라집니다. 인증키 : 010-xxxx-xxxx}} 오후 11시 45분에 바뀐 뜻으로, 53분까지 8분만 존재했습니다.<br>또한, 아래의 내용을 보면 알지만, 이건 낚시입니다. 근데 따지고 보면 15분도 안되서 바뀌었습니다. =====2021-11-20(2)=====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이런 낚시는 영어 단어 phishing과 물고기를 잡는 행위를 뜻하는 fishing의 발음이 똑같다는 점에착안하여 파생된 말입니다.}} =====2021-11-21=====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1972년 11월 21일, 김두한은 오랜 지병이었던 고혈압으로 쓰러졌다. 향년 55세였고, 박정희 정권의 독재가 또 한번의 정권 연장을 위해 유신헌법을 통과한지 한 달만이었다. 많은 인파가 몰린 그의 장례행렬에는 한 무리의 어린아이들도 그 뒤를 잇고있었다. 백야 김좌진 장군의 국가유공자 연금 전액을 매달 삼애 고아원이라는 곳에 기탁한 이유였다. 김두한. 그는 일제 말 우리가 주권을 잃었던 식민지 시절부터 해방 이후 좌우익의 대립에 이어서 자유당 부패정치와 5.16 박정희 정권에 이르기까지 그의 전생애 온 몸을 다 던져 불의와 싸웠다. (최동열 : 난 오랫동안 자네를 지켜봐온 사람일세. 자네는 자네답게 살았어. 조선의 주먹황제답게 말이야. 늘 야인이였지만 용감하고 멋있게 살았어. 나름대로 자네의 역사를 가지고 자네의 시대를 치열하고 열심히 살았다는 의미야. 뭐랄까...? 야인시대라고나 할까?) 야인시대! 그렇다. 그것은 바로 그가 몸바쳐 살아왔던 이 나라 격동기의 또다른 역사의 한 장이었다. 라는 대사는 야인시대 극중 나레이션의 대사고, 실질적으로는 1972년 11월 18일 서울 센추럴호텔 객실에서 쓰러진 채 발견되었고 21일 성북구 정릉동에 있던 자택에서 운명했습니다.}} TMI 속 TMI - 야인시대는 재미있는 대사와 합성물인 "심영물"로 유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심영물"에서는 위의 나레이션의 대사를 자주 사용하기에, 11월 21일을 특별히 생각해 "두한절"이라고 부르는 문화가 있습니다. =====2021-11-22=====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트위터를 상징하는 로고의 파랑새의 이름은 Larry T. Bird로, NBA 보스턴 셀틱스의 팬인 비즈 스톤이 셀틱스의 프랜차이저 래리 버드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합니다.}} =====2021-11-23=====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귤의 껍질은 귤피라 하고 안쪽의 하얀 부분을 귤락 귤피에서 귤락을 제거 한것을 귤홍이라 합니다.}} =====2021-11-28=====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Bang Dream 효율곡 순위{{인게임 뜻/번호|3}} #1 SAVIOR OF SONG 난이도 28 1:30.1 점수 869% 효율 434% {{인게임 뜻/번호|4}} #2 EXIST 난이도 26 1:33.8 점수 847% 효율 410% {{인게임 뜻/번호|5}} #3 Jumpin' 난이도 26 1:33.5 난이도 26 점수 843% 효율 410%}} (이해를 위한 표) {| class="wikitable" ! 순위 || 곡 제목 || 난이도 || 플레이 타임 || 점수 || 효율 |- | 1위 || SAVIOR OF SONG || 28 || 1분 30.1초 || 869% || 434% |- | 2위 || EXIST || 26 || 1분 33.8초 || 847% || 410% |- | 3위 || Jumpin' || 26 || 1분 33.5초 || 843% || 410% |} =====2021-11-30===== {{인게임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신조어}} Too much information 의 줄임말로 정보가 너무 과할때 쓰는 말이다.{{인게임 뜻/번호|2}}폴아웃: 뉴 베가스의 광부 마을 '슬론'의 네임드 애완 두더지쥐 '쿵쿵이'의 지능 스텟은 본 게임의 카이사르의 군단의 수장인 '카이사르' 보다도 높은 6입니다. 그러니까 우리([[끄투리오/시스템#모레미|모레미]])보다도 똑똑 한 것 같아요}} 아래의 내용은 지능 스탯에 따라 취급받는 정보입니다.<br> (5가 일반인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1 - 벽돌 이하(Sub-Brick) 2 - 채소(Vegetable) 3 - 백치(Cretin) 4 - 근육뇌(Knuckle Head) 5 - 상식은 있음(Knowledgeable) 6 - 재능이 있음(Gifted) 7 - 잘난놈(Smartypants) 8 - 만물박사(Know-It-All) 9 - 천재(Genius) 10 - 전지전능(Omniscient) <s>그러니까 '쿵쿵이'는 동물에 비해 몹시 뛰어나고 '카이사르'는 그냥 멍청하다는게 학계의 정설 (모레미는 상식 정도만 가지고 있는걸까?)</s> 요약: 리오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오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To protect the wiki against automated edit spam, please solve the following captcha: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