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분류:단어 대결용 단어]][[분류:언어]][[분류:군사]][[분류:불교]][[분류:음악]] {{단어 대결 전용 단어}} {{단어 |제목=아 |이미지1= |주제1=언어 |주제2=군사 |주제3=불교 |주제4=음악 |글자 수=1 |미션= |시작=아 |끝=아 }} {{목차}} ===개요=== {{인게임 뜻 |뜻={{인게임 뜻/번호|1}}{{인게임 뜻/주제|언어}}한글자모 ‘ㅏ’의 이름. <br> {{인게임 뜻/번호|2}}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서술하거나 물음·명령·청유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br> {{인게임 뜻/번호|3}}시간상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거나 방법 따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br> {{인게임 뜻/번호|4}}까닭이나 근거 따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br> {{인게임 뜻/번호|5}}본용언과 보조 용언을 연결하는 데 쓰는 연결 어미. <br> {{인게임 뜻/번호|6}}‘에04’의 방언(경북). <br> {{인게임 뜻/번호|7}}‘어린아이’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br> {{인게임 뜻/번호|8}}‘사나이’ 또는 ‘젊은 남자’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br> {{인게임 뜻/번호|9}}인가. <br> {{인게임 뜻/번호|10}}말투를 한층 세게 하여 서술어가 나타나는 동작이나 상태가 이미 확정된 것이나 완료된 상황임을 나타내는 어미. <br> {{인게임 뜻/번호|11}}-어. <br> {{인게임 뜻/번호|12}}놀라거나, 당황하거나, 초조하거나, 다급할 때 가볍게 내는 소리. <br> {{인게임 뜻/번호|13}}기쁘거나, 슬프거나, 뉘우치거나, 칭찬할 때 가볍게 내는 소리. <br> {{인게임 뜻/번호|14}}말을 하기에 앞서 상대편의 주의를 끌기 위하여 가볍게 내는 소리. <br> {{인게임 뜻/번호|15}}모르던 것을 깨달을 때 내는 소리. <br> {{인게임 뜻/번호|16}}{{인게임 뜻/주제|군사}}군대에서, 군의 맨 앞에 세우는 대장기. <br> {{인게임 뜻/번호|17}}{{인게임 뜻/주제|불교}}온갖 사물의 근원에 있으면서 개체를 지배하고 통일하는, 독립 영원의 주체. <br> {{인게임 뜻/번호|18}}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양주(揚州), 나주(羅州)등이 현존한다. <br> {{인게임 뜻/번호|19}}{{인게임 뜻/주제|음악}}춤의 장단을 짚어 주는 옛 북의 하나. 기다란 통에 가운데가 볼록하고, 두 개의 끈이 달렸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아고03(雅鼓). <br> {{인게임 뜻/번호|20}}‘아하다’의 어근. <br> {{인게임 뜻/번호|21}}{{인게임 뜻/주제|음악}}=가02. <br> {{인게임 뜻/번호|22}}손아랫사람이나 짐승 따위를 부를 때 쓰는 격 조사. }} ===특징=== *한 글자 단어이다. *한국어 끝말잇기에서 사용할 수 없다. 요약: 리오위키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리오위키: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To protect the wiki against automated edit spam, please solve the following captcha: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편집) 틀:단어 (편집) 틀:단어/색 (편집) 틀:단어/어인정 여부 (편집) 틀:단어/주제 링크 (편집) 틀:단어 대결 전용 단어 (편집) 틀:목차 (편집) 틀:인게임 뜻 (편집) 틀:인게임 뜻/번호 (편집) 틀:인게임 뜻/주제 (편집) 틀:주제 링크 (편집) 틀:주제 범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