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 두 판 사이의 차이

ㅎㅇ (토론 | 기여)
새 문서: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지명 정보 ! colspan="3" |<big>세종특별자치시</big> |- ! colspan="2" |표기 |世宗特別自治市 <sup>[한자 표기]</sup>, Sejong City <sup>[영어 표기]</sup> |- ! colspan="2" |시청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sup>[자세한 위치는 [https://namu.wiki/w/%EC%84%B8%EC%A2%85%ED%8A%B9%EB%B3%84%EC%9E%90%EC%B9%98%EC%8B%9C 여기]서 확인 바람]</sup> |- ! colspan="2" |면적 |464.9㎢ |- ! colspan="2" |인...
 
잔글 문서 내용에 자잘자잘한 내용이 너무 많아, 임시 비우기 조치 처리했습니다
태그: 비우기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지명 정보
! colspan="3" |<big>세종특별자치시</big>
|-
! colspan="2" |표기
|世宗特別自治市 <sup>[한자 표기]</sup>, Sejong City <sup>[영어 표기]</sup>
|-
! colspan="2" |시청 소재지
|세종특별자치시 보람동 <sup>[자세한 위치는 [https://namu.wiki/w/%EC%84%B8%EC%A2%85%ED%8A%B9%EB%B3%84%EC%9E%90%EC%B9%98%EC%8B%9C 여기]서 확인 바람]</sup>
|-
! colspan="2" |면적
|464.9㎢
|-
! colspan="2" |인구
|385,609명 <sup>[2023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sup>
|-
! colspan="2" |인구 밀도
|829.45명/㎢
|-
! rowspan="3" |상징
!시화
|복숭아꽃
|-
!시목
|소나무
|-
!시조
|파랑새
|-
!링크
!세종시청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ejong.go.kr/index.jsp #]
|}
{{단어|주제1=지명|제목=세종특별자치시|원어 제목=世宗特別自治市|미션=자(1)|시작=세|끝=시|글자 수=7}}


===개요===
{{인용문|'''세종이 미래다.'''|세종특별자치시의 브랜드 슬로건}}{{인게임 뜻|뜻={{인게임 뜻/주제|지명}}충청남도의 동북쪽, 충청북도의 서쪽에 접하는 특별자치시. 2010년 [https://www.law.go.kr/%EB%B2%95%EB%A0%B9/%EC%84%B8%EC%A2%85%ED%8A%B9%EB%B3%84%EC%9E%90%EC%B9%98%EC%8B%9C%EC%84%A4%EC%B9%98%EB%93%B1%EC%97%90%EA%B4%80%ED%95%9C%ED%8A%B9%EB%B3%84%EB%B2%95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이 공포되고, 2012년 7월에 출범하였다. 동으로는 충북 청주시와 서로는 충남 공주시, 남으로는 대전광역시, 북으로는 천안시와 경계를 이루며 1읍 9면 14동 125리로 되어 있다. 면적은 464.8㎢.}}2010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 때 '세종시법'에 의해 설치된 [[대한민국]]에 설치된 유일한 특별자치도이다.
계획도시이므로, 각종 정부 청사 등이 있다.
충청남도와 충청북도에 접하고 있다.
=== 특징 ===
* 우리나라 유일의 특별자치시이다.
* 세로 시작해서 시로 끝나는 7글자 지명 단어이다.
* 끄투리오 내에서 사용도가 높지 않은 단어이다.
[[분류:세로 시작하는 단어]]
[[분류:시로 끝나는 단어]]
[[분류:지명]]

2023년 4월 29일 (토) 23:16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