ㅎㅇ (토론 | 기여)
새 문서: {{다른 뜻|설명=어인정 주제에 관한|문서=소설/시/수필/동화}}{{목차}}{{단어|주제1=식물|주제2=식물|주제3=한의학|주제4=한의학|주제5=문학|주제6=한의학|제목=소설|원어 제목=小舌, 小雪, 小說, 所說, 昭雪, 素雪, 掃雪, 疏泄, 騷說|글자 수=2|시작=소|끝=설}} === 개요 === {{인게임 뜻|뜻={{인게임 뜻/번호|1}}하찮거나 쓸모 없는 변설(辯舌).<br>{{인게임 뜻/번호|2}}{{인게임 뜻/...
 
(차이 없음)

2023년 12월 10일 (일) 12:15 기준 최신판

어인정 주제에 관한 내용은 소설/시/수필/동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소설
小舌, 小雪, 小說, 所說, 昭雪, 素雪, 掃雪, 疏泄, 騷說
주제 식물 식물 한의학 한의학 문학 한의학
글자 수 2
미션 -
어인정 여부 X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사전
1하찮거나 쓸모 없는 변설(辯舌).
2〈식물〉 보리나 벼 따위 식물의 잎집과 잎몸 사이에 생기는 혀 모양의 돌기. ≒엽설(葉舌)ㆍ잎혀.
3〈식물〉 양치식물의 소엽(小葉) 윗면의 아랫부분에 생기는 작은 혀 모양의 막성(膜性) 돌기.
4〈한의학〉 '목젖'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5〈한의학〉 목젖이 부어서 아래로 늘어진 병.
6이십사절기의 하나. 입동과 대설 사이에 들며, 이때 태양의 황경(黃經)은 240도가 된다. 11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7〈문학〉 사실 또는 작가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허구적으로 이야기를 꾸며 나간 산문체의 문학 양식. 일정한 구조 속에서 배경과 등장인물의 행동, 사상, 심리 따위를 통하여 인간의 모습이나 사회상을 드러낸다. 분량에 따라 장편ㆍ중편ㆍ단편으로, 내용에 따라 과학 소설ㆍ역사 소설ㆍ추리 소설 따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옛날의 설화나 서사시 따위의 전통을 이어받아 근대에 와서 발달한 문학 양식이다. ≒이야기「5」.
8=소설책.
9설명하는 바.
10주장하는 바.
11원통한 죄나 억울한 누명 따위를 밝혀 씻음. ≒소석02(昭析).
12=백설01(白雪).
13=제설01(除雪).
14〈한의학〉 뭉쳐 있는 기운을 풀어서 소통시키는 기능.
15시끄럽게 떠도는 소문.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미션이 없다.
  • 소로 시작해서 설로 끝나는 2글자 단어이다.